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정도, 교육요구 등의
정확한 진단평가 및 적합한 교육환경 배치로 개별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진단평가를 실시
			
		장애가 있거나 장애가 있다고 의심되어 보호자 및 학교의 장을 통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진단ㆍ평가 의뢰된 영ㆍ유아 및 학생

| 구분 | 장애유형 | 검사도구 | 
|---|---|---|
| 선별검사 | 1. 사회성숙도검사 2. 한국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Ⅱ 3. 한국판 아동발달검사 (K-CDI)  | 
							 
						|
| 진단평가 | 정신지체, 자폐성장애, 학습장애 | 1.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(K-WISC-3, 4) 또는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(K-WIPPSI) 2. 사회성숙도검사 (SMS) 3.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(K-CBCL) 4. CARS (자폐성장애 해당) 5. 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 (VMI)  | 
							 
						
| 정서 ‧ 행동장애 | 1.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(K-WISC-3, 4) 또는 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(K-WIPPSI) 2. 사회성숙도검사 (SMS) 3. 아동·청소년 행동평가척도 (K-CBCL) 4. 밴더 게슈탈트검사 (BGT) 5. 로르샤흐검사 6. 문장완성검사  | 
							 
						|
| 의사소통장애 | 1. 구문검사            2. 음운검사 3. 언어발달검사  | 
							 
						
(서울특별시 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참조 : http://www.sen.go.kr/sedu/sedu/index.do)